글제목 | 물가변동 ES는 무슨 지수를 적용할까? | ||
작성자 | 작성자최고관리자 |
작성일 | 작성일25-08-22 14:41 |
본문
1. 건설공사비지수
건설공사에 투입되는 재료비, 노무비, 장비비 등 직접공사비의 금액 변동을 측정하는 지수입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매월 말 발표하며, 건설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작성됩니다. 이 지수는 공사비 실적 자료의 시간차 보정이나 물가변동(ES)에 따른 계약금액 조정 등에 활용됩니다.
발표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요 활용: 공사비 산정, 계약금액 조정, 물가변동 ES 분석
장점: 민간 건설 분야 특화, 실무 적용성 높음
예를 들어, 기존 공사비 자료를 활용할 때 시차로 인한 물가변동을 보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민간공사에서 물가변동 ES 산정을 위한 지수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소비자물가지수
소비자가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금액 변동을 측정하는 지수로, 통계청에서 매월 발표합니다.
일반 가정의 생활물가를 반영하며, 경기 판단의 기초자료, 화폐 가치 측정, 통화정책 수립 등에 활용됩니다.
발표기관: 통계청
주요 활용: 경기 판단, 연금 및 임금 조정, 통화정책 수립
장점: 국민 생활물가 반영, 인플레이션 지표로 활용
예를 들어, 물가상승에 따라 국민연금이나 최저생계비 등의 지급액을 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하지만 민간공사에서 물가변동 ES의 기준지수로도 활용됩니다.
3. 생산자물가지수
국내 생산자가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 및 서비스의 금액 변동을 측정하는 지수로, 한국은행에서 매월 발표합니다.
원재료, 중간재, 자본재 등을 포함하여 상품과 서비스의 수급 동향 파악 및 경기 동향 판단 지표로 활용됩니다.
발표기관: 한국은행
주요 활용: 생산원가 분석, 경기 동향 판단, 통화정책 수립
장점: 생산자 관점의 물가 변동 파악, 선행지표적 성격
예를 들어, 생산자물가지수는 소비자물가지수보다 변동성이 큰 편이며, 이는 생산자가 실제로 수취하는 금액을 반영하기 때문입니다.
관급공사(공공공사)에서 물가변동 ES의 지수로 사용됩니다.
건설공사에 투입되는 재료비, 노무비, 장비비 등 직접공사비의 금액 변동을 측정하는 지수입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매월 말 발표하며, 건설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작성됩니다. 이 지수는 공사비 실적 자료의 시간차 보정이나 물가변동(ES)에 따른 계약금액 조정 등에 활용됩니다.
발표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요 활용: 공사비 산정, 계약금액 조정, 물가변동 ES 분석
장점: 민간 건설 분야 특화, 실무 적용성 높음
예를 들어, 기존 공사비 자료를 활용할 때 시차로 인한 물가변동을 보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민간공사에서 물가변동 ES 산정을 위한 지수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소비자물가지수
소비자가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금액 변동을 측정하는 지수로, 통계청에서 매월 발표합니다.
일반 가정의 생활물가를 반영하며, 경기 판단의 기초자료, 화폐 가치 측정, 통화정책 수립 등에 활용됩니다.
발표기관: 통계청
주요 활용: 경기 판단, 연금 및 임금 조정, 통화정책 수립
장점: 국민 생활물가 반영, 인플레이션 지표로 활용
예를 들어, 물가상승에 따라 국민연금이나 최저생계비 등의 지급액을 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하지만 민간공사에서 물가변동 ES의 기준지수로도 활용됩니다.
3. 생산자물가지수
국내 생산자가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 및 서비스의 금액 변동을 측정하는 지수로, 한국은행에서 매월 발표합니다.
원재료, 중간재, 자본재 등을 포함하여 상품과 서비스의 수급 동향 파악 및 경기 동향 판단 지표로 활용됩니다.
발표기관: 한국은행
주요 활용: 생산원가 분석, 경기 동향 판단, 통화정책 수립
장점: 생산자 관점의 물가 변동 파악, 선행지표적 성격
예를 들어, 생산자물가지수는 소비자물가지수보다 변동성이 큰 편이며, 이는 생산자가 실제로 수취하는 금액을 반영하기 때문입니다.
관급공사(공공공사)에서 물가변동 ES의 지수로 사용됩니다.
관련링크
다음글
민간공사의 물가변동 공사비증액 25.08.2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